Today i learned & Week i learned/기타

ADsP 공부 [1]

데분조 2024. 2. 20. 10:58
반응형

참고 도서

 

2024 ADsP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 예스24

본 도서는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ADP)』 자격증과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ADsP)』 자격증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을 위한 도서이다. 2014년 4월 이후 시행

www.yes24.com

 

ADsP 34회 기출문제 풀이

빅데이터 분석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것?

-> 데이터가 커질수록 분석에 많이 사용되고 이것이 경재 우위를 가져다주는 원천이다. 

 

풀이)

데이터가 커진다고 해서 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에 따른 적정한 분석 방법이 경쟁우위를

가져다 준다고 할 수 있다.


데이터의 가치 측정이 어려운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

-> 빅데이터 전문인력의 증가로 다양한 곳에서 빅데이터가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풀이)
데이터의 가치를 측정하기 어려운이유는 "데이터 활용 방식","새로운 가치 창출","분석 기술 발전"이다.


DBMS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모든 데이터는 분석이 가능하다.

 

풀이)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데이터 중 분석이 불가한 데이터들도 있으며, 그런 데이터는 처리 등을 통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빅데이터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

-> 빅데이터 분석은 일차적인 분석으로는 불충분하다.

 

풀이)

일차적인 분석을 통해서도 해당 부서나업무 영역에서는 상당한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빅데이터 시대에 발생할 수 있는 위기요인과 예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다) : 책임원칙훼손 : 구글은 이미 서비스 이용자가 1시간 뒤에 어떤 일을 할지 78%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음.

     (라) : 데이터오용 :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크롤링하여 활용

 

풀이)

데이터 오용은 베트남 전쟁 시 적군 사망자 수를 과장해 보고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데이터 사이언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주로 분석의 정확성에 초점을 두고 진행한다.

 

풀이)

데이터 사이언스는 통찰력 있는 분석에 초점을 두고진행한다.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데이터 마트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 데이터 마트는 모든 사용자 그룹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논리 모델을 지향한다.

 

풀이)

데이터 마트는 데이터 웨어하우스로부터 구축된 데이터 속에서 한 가지 주제 또는 한 부서 중심으로 구축된 소규모, 단일 주제의 웨어하우스로 예측 가능한 질의에 대해서 매우 빠르게 응답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 데이터가 많을수록 더 많은 가치가 창출된다.

 

풀이)

데이터가 많다고 무조건 더 많은 가치가 창출되지는 않는다.


 하향식 접근법의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 타당성 검토 단계에서는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 조합이 필요하다.

 

풀이)

타당성 검토 단계에서는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비지니스 지식과 기술적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비지니스 분석가,

데이터 분석가, 시스템 엔지니어 등과의 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분석과제 관리를위한 5가지 주요 영역의 내용 중 옳은 것은?

->가) 분석과제 관리를 위한 5가지 주요 영역은 size, complexity, speed, analytic complexity, accuracy & precision이다.

나) 초기 데이터의 확보와 통합 뿐만 아니라 해당 데이터에 잘 적용될 수 있는 분석 모델의 선정을 고려해야 한다.

라)분석 모델의 정확도와 복잡도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가 존재한다.

 

풀이)

Precision은 모델을 지속적으로 반복했을 때의 편차의 수준으로써 동일한 결과를 제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향식 데이터 분석기획에서 문제 탐색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문제 탐색은 유스케이스 활용보다는 새로운 이슈 탐색이 우선

 

풀이)

문제 탐색 단계에서 현재의 비지니스 모델 및 유사 동종사례 탐색을 통해서 도출한 분석 기회들을 구체적인 과제로

만들기 전에 분석 유스케이스로 표기하는것이 필요하다.


기업의 데이터 분석과제 수행을 위한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석 준비도를 파악하게 된다. 다음 중 데이터 분석 준비도

프레임워크에서 분석 업무 파악 영역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업무별 적합한 분석 기법

 

풀이)

데이터 분석 준비 프레임워크에서 분석 업무 파악 영역에는 발생한 사실 분석 업무, 예측 분석 업무, 시뮬레이션 분석 업무, 최적화 분석 업무, 분석 업무 정기적 개선이 있다.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중 시스템 구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정보보안영역과 코딩은 시스템 구현 단계에서 주요 고려사항이다.

 

풀이)

시스템 구현 단계에서 정보 보안 영역과 코딩은 주요 고려사항이 아니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테스트 및 운영이 주요 고려 사항이다.


분석과제 정의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상세 알고리즘

 

풀이)

분석과제 정의서를 통해 분석별로 필요한 소스 데이터, 분석방법, 데이터 입수 및 분석의 난이도, 분석 수행주기, 분석결과에 대한 검증 오너십, 상세 분석 과정 등을 정의한다. 분석 데이터 소스는 내,외부의 비구조적인 데이터와 소셜 미디어 및 오픈 데이터까지 범위를 확장하여 고려하고 분석방법 또한 상세하게 정의한다.


데이터 분석 과제에서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분석 과제는 분석 전문가의 상상력을 요구하므로 일정을 제한하는 일정 계획은 적절하지 못하다.

 

풀이)

분석 프로젝트 관리방안에서 시간 관리는 프로젝트의 활동 일정을 수립하고 일정 통제의 진척 상황을 관찰하는데 요구되는 프로세스이다.


CRISP-DM의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데이터 준비 단계에서는 데이터 정제, 데이터 탐색, 데이터 셋 편성 등의 수행업무가 있다.

 

풀이)

데이터 준비 단꼐에서는 분석용 데이터 셋 선택, 데이터 정제, 분석용 데이터 셋 편성, 데이터 통합, 데이터 포맷팅 수행 업무가 있다.

반응형

'Today i learned & Week i learned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용어 정리  (0) 2024.03.06
데이터 문해력 요약 5  (0) 2024.01.10
데이터 문해력 요약 4  (1) 2024.01.09
데이터 문해력 요약 3  (0) 2024.01.08
데이터 문해력 요약2  (1) 202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