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운영에 대한 생각

내일 배움 캠프 데이터 분석 과정 솔직 후기 [사전 캠프 ~ 1주차]

데분조 2023. 12. 24. 13:19
반응형

저는 강의, 교육기획, 교육컨텐츠제작, 부트 캠프 교육 운영 경력을 보유하고 있고
현재 스파르타 코딩 내일 배움 캠프 데이터 분석 과정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고
교육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사전 캠프

1. SQL 강의
- 강사님께서 너무 잘 가르쳐주셔서 SQL 기초를 정말 재밌게 익혔다.
- SQL 강의에 대해서 크게 할 말은 없고 이 느낌대로 SQL 심화 강의 만드셔도 될 거 같다. 
 
2. 데이터 분석 강의
- 기초가 없으신 분들은 3주차 강의부터 이해하기 힘들 거 같다. (나는 기초가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 코드 한줄 한줄마다 설명 주석이 있다면 초보자분들이 더 수월하게 학습할 수 있을 것 같다.
- 판다스 기초 컨텐츠에 대한 보강이 있었으면 좋겠다.
- 강사님의 딕션이나 화법이 듣기 불편했다. 이 강사님 게임 개발 과정에서도 뵈었는데.. 같은 생각이 들었었다.
- 강의를 듣기보단 강의 자료를 보면서 혼자 공부했던거 같다.
 
3. Today i learned
- 매일 내가 공부 했던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하는 건데. 이거 덕분에 내가 블로그를 잘쓰고 있다. 고맙다..!
 
4.  Week i learned
- 금요일마다 한 주에 대해 작성하는 건데 Today i learned만 하면 어떨까? 생각이 든다.
- 좀 더 써보고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남기도록 하겠다.


1주차

1. 온보딩
온라인 과정에다가 신청 인원이 100명이나 되었는데
온보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이탈 좀 있었던 것 같다.

개강 첫 주에는 매일 1시간씩 아이스브레이킹하고
서로 교류하는 시간을 운영진이 만들어줘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운영 리소스가 들겠지만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함.)
팀빌딩해주고 "미니프로젝트, 스터디하면서 알아서 친해져"라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이탈이 좀 있었던 것 아닐까?

하루에 12시간이나 온라인으로 공부하는 것도 부담스러운데
초반에 온보딩을 이렇게 한다?
초반 이탈률이 항상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교육들은 어떻게 하는 지 모르겠지만
 
온라인 교육 과정들은 초반 온보딩만 잘해도
절반은 성공한 거라고 생각한다.
 
교육생들에게 필요한 건
교육 컨텐츠, 소속감, 함께 공부할 동지
이 세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온보딩을 통해 충분히
교육생들이 이 세 부분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2. 미니프로젝트

- 사전 캠프 때 공부한 SQL, 데이터분석 역량을 가지고 데이터분석 미니 프로젝트를 했었다.
- 어떤 의도로 미니 프로젝트를 기획한지는 알겠지만 프로젝트 가이드 라인이 모호했고 튜터의 피드백은 냉정했다. 
- "앞으로 어떤 내용 공부해야되는 지 알겠지?"라는 의도였으면 친절한 말투, 화법으로 피드백을 해주길 바란다.
- 차라리 미니프로젝트는 데이터분석을 1~2주차 더 배우고 진행하고 3~4주차 때 진행하면 어떨까 생각이 든다.
- 1주차 때는 팀원들의 TMI 내용 또는 재밌는 주제로 병맛, 뇌절 PPT 발표대회 이런거 하면 훨씬 더 괜찮지 않을까?
 
3. 튜터
수강생들이 질문을 하러 찾아오길 기다리는 것보다
돌아다니면서 얘기도 하면서 친해지고, 질문 유도도 해보면 좋을 것 같다.
 
모든 것이 어색한 1주차 때 정말 외향적인 사람이 아니라면
몰라도 튜터를 찾아가는 게 부담스러울거니까.
 
튜터를 뽑을 때
분야에 대한 경험, 지식의 정도도 중요하지만
교육 서비스 정신을 더 중요하게
봤으면 좋겠다.
 
4. SQLD 강의
- 자격증을 따기 위해 16시간 강의를 듣는데. 이론 교육이 많다?
-> 끝까지 듣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 나는 그래서 강의를 듣기 보단 문제집과 강의자료를 가지고 공부할 예정이다.


앞으로 교육 주차도 느낀 그대로 글로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